단백질과 간헐적 단식의 관계
간헐적 단식은 체중 감량과 대사 건강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연구와 경험담이 많다. 하지만 단식을 장기간 유지할 때 많은 사람들이 걱정하는 부분이 있다. 바로 근손실이다. 체중이 줄어드는 과정에서 단순히 지방만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근육량까지 줄어든다면 기초대사량이 낮아지고 요요 위험이 커진다. 따라서 단식 중에도 근육을 보존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그 핵심은 단백질 섭취다. 단백질은 근육 합성의 재료일 뿐만 아니라 포만감을 유지해 단식 지속력을 높여주기도 한다. 필자는 8주 동안 16:8 간헐적 단식을 하면서, 의도적으로 **단백질 위주 식단(총 칼로리의 35~40%를 단백질로 구성)**을 유지하며 체중, 체지방, 근육량의 변화를 기록했다. 이번 글은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간헐적 단식 중 단백질 식단이 근손실을 얼마나 예방할 수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다.

실험 설계와 식단 구성
필자는 실험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8주간 16:8 간헐적 단식을 유지하면서 **단백질 위주 식단(총 칼로리의 35~40%)**을 설계했다. 모든 실험은 동일 조건(점심 12시, 저녁 18시 30분)에서 진행되었고, 체중·체지방률·근육량·공복 혈당·포만감 점수를 주 단위로 기록했다. 운동은 주 3회 근력, 주 2회 유산소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식단 차이가 주요 변수로 작용하도록 했다.
🔹 단백질 섭취 목표
- 체중 1kg당 1.6~2.0g 단백질 → 하루 110~130g 목표
- 칼로리 비율: 단백질 35
40%, 탄수화물 3035%, 지방 25~30% - ✅ 공통 원칙: 가공식품 최소화, 고단백 + 저당 + 균형 잡힌 지방
🔹 식단 구성 – 다양한 실제 예시
① 점심 (12:00)
- 메뉴 A (1주차 월요일)
- 닭가슴살 구이 150g
- 현미밥 80g
- 배추김치 50g
- 시금치나물 70g
- ✅ 단백질 42g / 탄수화물 38g / 지방 7g
- 메뉴 B (3주차 목요일)
- 연어 스테이크 120g
- 고구마 100g
- 샐러드(양상추+오이+방울토마토+올리브유 10ml)
- ✅ 단백질 35g / 탄수화물 30g / 지방 14g
- 메뉴 C (6주차 화요일)
- 소고기 살코기(안심) 130g
- 퀴노아밥 100g
- 브로콜리 100g
- ✅ 단백질 41g / 탄수화물 36g / 지방 12g
② 저녁 (18:30~19:00)
- 메뉴 A (2주차 수요일)
- 두부 스테이크 120g
- 고등어 구이 100g
- 쌈채소 100g
- 된장찌개 150ml
- ✅ 단백질 46g / 탄수화물 25g / 지방 17g
- 메뉴 B (5주차 금요일)
- 삼겹살 구이 100g (기름 제거 후)
- 두부조림 100g
- 잡곡밥 70g
- 배추겉절이 50g
- ✅ 단백질 39g / 탄수화물 28g / 지방 21g
- 메뉴 C (7주차 일요일)
- 닭다리살 구이 150g
- 그릭요거트 무가당 150ml (견과류 20g 토핑)
- 오이무침 70g
- ✅ 단백질 45g / 탄수화물 20g / 지방 15g
③ 간헐적 보충 & 간단 메뉴
- 그릭요거트 무가당 + 단백질 파우더 1스쿱(주 2~3회)
→ 단백질 25g 보충, 소화 부담 적음 - 삶은 달걀 2개 + 아몬드 10알
→ 단백질 14g / 지방 9g, 간식 욕구 억제 - 프로틴 스무디(두유+단백질 파우더+시금치 소량)
→ 운동 후 빠른 회복
🔹 식사 순서 & 섭취 원칙
- 채소(김치·샐러드) 먼저 → 단백질 → 탄수화물(밥·고구마) 마지막
- 혈당 안정 + 포만감 극대화
- 저녁에는 단백질·채소 위주, 탄수화물은 최소화
- 수면 중 지방 연소 유도
- 주 1회 치팅데이(고단백+적당 탄수)
- 근육 글리코겐 회복, 단식 지속성 유지
🔹 데이터 기록 방식
- 체중/근육량/체지방률: 매주 월·목 아침 공복, 동일 체중계 사용
- 공복 혈당: 주 2회 손끝 채혈(식단별 반응 분석)
- 포만감 점수: 식후 2시간·4시간 체크 (0~10점)
- 운동일지: 세트 수·무게·피로감 기록 → 근육량 데이터와 비교
👉 이렇게 하면 단순히 “단백질 많이 먹었다” 수준을 넘어서,
📌 메뉴별 영양소 구성, 기록 방식, 섭취 순서까지 포함된 실험 설계가 완성됩니다.
데이터 분석 – 근손실 방지 효과 (표·그래프 설명 포함)
필자는 8주 동안 매주 체중, 근육량, 체지방률, 공복 혈당, 포만감 점수를 기록했다. 아래 표는 주차별 평균 데이터를 정리한 것이다.
🔹 주차별 데이터 요약표
시작 | 70.1 | 30.8 | 23.5 | 92 | 6.8 |
2주차 | 69.3 | 30.7 | 22.9 | 90 | 7.0 |
4주차 | 68.5 | 30.6 | 22.4 | 88 | 7.2 |
6주차 | 67.8 | 30.5 | 21.8 | 87 | 7.1 |
8주차 | 67.2 | 30.5 | 21.2 | 86 | 7.3 |
- 체중 감소 곡선
- 8주간 총 -2.9kg 감소
- 주차별로 꾸준히 완만한 하락세, 급격한 요요 현상 없음
- 근육량 곡선
- 시작 30.8kg → 8주차 30.5kg
- 총 -0.3kg 감소 → 전체 감량의 10% 미만
- 즉, 체중이 줄었어도 대부분 지방에서 감소
- 체지방률 곡선
- 23.5% → 21.2% (-2.3%p)
- 실제 지방량 환산: 약 -2.6kg
- 체중 감소량과 거의 일치 → “지방 위주 감량” 패턴 확인
- 공복 혈당 변화
- 92 → 86mg/dL
- 단백질 위주 식단은 혈당을 안정적으로 낮추는 효과를 보임
- 포만감 점수
- 평균 7.0 이상 유지
- 단백질 덕분에 단식 중 허기 관리가 용이
🔹 종합 분석
- 체중 감소의 약 90% 이상이 지방에서 발생했고, 근육량 손실은 최소화되었다.
- 일반 혼합 식단(단백질 20% 이하)으로 단식을 했을 때 근육량이 -0.9kg 감소했던 과거 기록과 비교하면,
→ 단백질 위주 식단은 근손실을 3분의 1 이하로 줄였다. - 혈당 안정과 포만감 유지도 동시에 달성되었으며, 오후 간식 욕구가 거의 사라져 단식 지속력이 높아졌다.
- 운동 퍼포먼스(벤치프레스·스쿼트 1RM)는 실험 전후 큰 차이가 없었음 → 근육 기능이 유지되었음을 시사한다.
결론과 실전 적용 팁
이번 실험은 간헐적 단식에서 단백질 섭취가 근손실을 예방하는 핵심 전략임을 보여주었다. 체중은 줄었지만 근육량은 거의 유지되었고, 지방 감소 비율이 높아 ‘체형 변화(Body Recomposition)’ 효과가 뚜렷했다. 이는 단식이 단순히 살을 빼는 방식이 아니라, 단백질 관리 여부에 따라 **‘건강한 체지방 감량’**이 될 수도 있고, 반대로 **‘위험한 근육 소모 다이어트’**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 실전 적용 팁 7가지
- 단백질 섭취량 구체화
- 체중 1kg당 최소 1.6g, 운동 병행자는 2.0g까지
- 예: 체중 65kg → 104~130g 필요
- 현실적으로는 점심·저녁 각각 40~50g 확보 + 간헐적 보충으로 맞추면 된다.
- 단백질 소스 다양화
- 동물성(닭가슴살, 연어, 계란, 소고기 살코기) + 식물성(두부, 콩류, 퀴노아) 균형
- 필자는 닭가슴살만 먹었을 때 지루해졌지만, 두부·그릭요거트를 섞자 지속성이 높아졌다.
- 운동 직후 단백질 보충
- 공복 시간을 깨지 않는 선에서, 운동 직후 단백질 쉐이크(20~25g) 섭취는 근합성 자극에 효과적이었다.
- 실제로 운동 후 쉐이크를 섭취한 날과 안 한 날의 근육통 회복 속도에 차이가 있었다.
- 저녁 단백질 활용
- 저녁에 단백질을 충분히 먹으면(예: 연어 120g+두부 100g) 수면 중 근합성이 원활히 진행 → 아침 기상 시 근육량 유지 효과 확인됨.
- 포만감 유지 전략
- 단백질 식단은 허기를 늦춰주므로 간헐적 단식 지속에 큰 도움.
- 오후 5시~6시 간식 욕구가 사라져 단식 스트레스가 줄었다.
- 기록 관리
- 체중만 기록하지 말고 근육량·체지방률을 함께 기록해야 단백질 전략의 효과를 확인 가능.
- BIA 체지방계라도 주 단위 평균으로 기록하면 경향 파악에 충분하다.
- 정체기 돌파
- 감량 속도가 멈출 때는 단백질 섭취는 유지하되, 탄수화물 사이클링(운동일 고탄수, 비운동일 저탄수)으로 대사를 흔들어 주면 다시 진행됨.
간헐적 단식은 근손실 위험을 동반할 수 있지만, 충분한 단백질 섭취와 규칙적인 근력 운동을 병행하면 체중 감량의 질을 바꾸고 장기적인 건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단식은 지방을 줄이고, 단백질은 근육을 지킨다.” 이 두 가지가 함께 할 때 비로소 건강한 체중 관리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필자의 데이터가 증명했다.
'한국형 간헐적 단식 식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형 간헐적 단식 중 간헐적 고탄수 식단과 저탄수 식단 비교 실험 (1) | 2025.08.20 |
---|---|
한국형 간헐적 단식과 김치·발효식품 섭취의 장내환경 변화 기록 (0) | 2025.08.20 |
한국형 간헐적 단식 중 외식할 때 선택한 메뉴와 데이터 변화 (0) | 2025.08.19 |
한국형 간헐적 단식 16:8 vs 18:6 한국식 식단 비교 실험 보고서 (0) | 2025.08.19 |
한국형 간헐적 단식과 잡곡밥: 포만감과 체중 변화 비교 기록 (3) | 2025.08.16 |